안전증 방폭(Increased Safety, Ex e)의 기본 개념

  안전증 방폭(Increased Safety, Ex e)의 기본 개념 > 방폭이야기 | (주)태경T&C (tktrade.co.kr)

RS485 케이블 특성

전송 속도와 필요한 케이블 길이에 따라 특별히 설계된 RS-485 케이블 또는 거의 모든 전선 쌍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RS-485 인터페이스용으로 특별히 설계된 케이블은 특성 임피던스가 120옴인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입니다. 방사 및 수신 간섭을 잘 억제하려면 케이블의 단위 길이당 많은 회전 수와 모든 전선의 매개변수를 식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비절연 인터페이스 트랜시버를 사용하는 경우 신호 와이어 외에 연결된 인터페이스의 접지 회로를 연결하기 위해 케이블에 하나 이상의 트위스트 페어를 제공해야 합니다. 인터페이스가 갈바닉 절연된 경우에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케이블은 차폐되거나 차폐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실험 없이는 화면이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하기가 매우 어렵습니다. 그러나 차폐 케이블의 비용이 그다지 높지 않다는 점을 감안할 때 항상 차폐 케이블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낮은 전송 속도와 직류에서 케이블의 옴 저항에 걸친 전압 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단면적이 0.35 sq. mm인 RS-485 인터페이스용 표준 케이블의 저항은 48.5 * 2 = 97 Ohms이고 길이는 1km입니다. 120옴 종단 저항을 사용하면 케이블이 0.55의 분할 계수로 전압 분배기 역할을 합니다. 즉, 케이블 출력의 전압은 입력의 전압보다 약 2배 낮습니다. 이는 100kbps 미만의 전송 속도에서 허용되는 케이블 길이를 제한합니다. 더 높은 주파수에서 허용 가능한 케이블 길이는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고(그림 2.7) 케이블 손실 및 영향에 의해 제한됩니다.  전면 지터 충동. 손실은 도체의 옴 저항에 걸친 전압 강하로 구성되며, 이는 표면으로의 전류 변위(표피 효과)와 유전체의 손실로 인해 고주파에서 증가합니다. 예를 들어 Belden 9501PVC 케이블의 신호 감쇠는 20MHz의 주파수에서 10dB(3.2배)이고 케이블 길이가 100m인 주파수 100kHz에서 0.4dB(4.7%)입니다. <출처> rs 485 사용. EIA485(

PID 제어

이미지
where  is the proportional gain, a tuning parameter  is the integral gain, a tuning parameter  is the derivative gain, a tuning parameter  is the set point  is the process variable  is the error 1. P 제어 / Proportional Control / 비례제어  - 현재 오차값에 gain  를 곱하여 output을 보정하는 방식.  - gain이 너무 크면 output의 변화가 커서 시스템의 불안정을 초래한다.  - gain이 너무 작으면 응답 속도가 느림.  - output 변화의 대부분을 차지함. (I제어, D제어에 비해 출력변화 기여하는 비중이 높다.)  - 정 상상태 오차 (steady state error)를 가지고 있다. => I제어를 추가하여 보정함. 2. I 제어 / Integral Control / 적분제어 - 오차의 과거 누적값으로 인한 제어효과를 추가하여 잔류 오차를 제거함.   -  시간 경과에 따른 순시 오류의 합(이전에 수정했어야 하는 누적 오프셋 에 gain 를  곱하여 컨트롤러 출력에 추가함. - PV가 SP보다 커졌다 작았다를 반복하면서 [SP - PV]의 누적오차를 점점 상쇄시키면서 결과적으로 정상상태오차를 없애는 효과를 가져온다. - I제어의 추가효과로 인해 overshoot이 커진다. => D제어를 추가하여 보정함. 3. D 제어 / Derivative Control / 미분제어  - 오차의 변화율에 gain  를 곱하여 overshoot을 상쇄시키는 역할을 한다. (예측 제어)    - flow or pressure 같이 noisy or fast responding control loops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 noise의 영향을 줄이기 위해 low-pass filter와 함께 사용할 수 있음.   -  시스템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실제 잘 사

2-wire / 3-wire / 4-wire RTD

이미지
2-wire RTD Wheatstone Bridge 원리를 사용함. L1, L2의 선간저항이 R t (RTD Sensor 저항)에 영향을 미치므로 lead wire가 긴 경우 적합하지 않음. 3-wire RTD 마찬가지로 Wheatstone Bridge 원리를 사용함. L2는 V out 측정용으로만 사용하고, L1+R t vs L3+R3로 선간저항이 분산되므로 lead wire에 의한 오차가 적음. 일반적으로 산업용에 사용됨. 4-wire RTD 전류(I s )를 인위적으로 흘려주고, V out 을 별도 측정하여 R t 를 구하는 원리. 3-wire RTD보다 높은 accuracy를 요구하는 연구소, 실험실과 같은 곳에서 사용함.

KGS GC102 2018 방폭전기기기의 설계, 선정 및 설치에 관한 기준

7.3 케이블   7.3.2 고정 설치된 설비의 케이블 7.3.2.1 폭발위험장소의 고정설치설비에 사용되는 케이블은 주변 조건에 적합한 것이어야 하고, 다음 중 어느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이어야 한다. (1) 열가소성수지, 열경화성수지 또는 탄성중합체 재질로 피복된 것일 것, 이 경우 피복은 둥글고 조밀한 구조이고, 베딩(bedding) 또는 피복은 압출성형 방식으로 제작된 것이며, 충전재를 사용 하는 경우 그 충전재는 항흡습성의 것이어야 한다. (2) 미네랄 절연의 금속으로 피복된 것일 것. (3) 특수하게 제작된 것일 것(예: 적절한 케이블 글랜드가 설치된 평면 케이블). 이 경우 케이블은 조밀한 구조이고, 베딩(bedding) 또는 피복은 압출성형 방식으로 제작된 것이며, 충전제를 사용하는 경우 그 충전제는 항흡습성의 것이어야 한다. 7.3.2.2 케이블의 각 심선 사이의 간극을 통하여 가스가 이동할 가능성이 있고 케이블이 비폭발위 험장소와 연결되어 있거나 위험장소구분이 다른 장소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케이블의 구조 및 사용 상태를 점검하고, 통기제한 기준에 적합한 케이블을 사용하는 등의 적절한 통제방안을 강구한다. [비고] “통기제한기준에 적합한 케이블”이란 일정한 온도조건 하에서 부피가 5L(± 0.2L)인 밀봉외함에 0.5m 길이의 케이블을 연결하고 형식시험을 실시하여 외함의 내부압력이 0.3kPa에서 0.15kPa로 떨어지는데 걸리는 시간이 5초 이상인 것을 말한다. 7.3.2.3 케이블의 각 심선 사이의 간극을 통하여 화염이 전파될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는 케이블의 구조 및 사용 상태를 점검하고, 화염의 전파를 예방할 수 있는 적절한 통제방안을 강구한다. 7.3.2.4 미네랄 절연 케이블은 밀봉된 구조의 것이어야 한다. [비고] 7.3.2.1부터 7.3.2.4까지의 기준들은 공정 차폐(process sealing)를 위한 기기의 선정에 관하여는 적용하지 아니한다. 7.4 전선관 계통 7.4.7 단심 또는 다심의 비피복 절연 케이블(no

PE Control Systems (CSE) 시험 후기 : 2021 PBT

이미지
1. 시험 준비 기간 4달간 준비했으며, 약 200시간 이상 공부한것으로 보입니다. 4달이면 아래 나열된 교재들을 공부하는데는 여유있는 시간입니다. 너무 장기간 준비하면 지치니 3~4달을 잡고 공부하는것을 추천드립니다. 2. 참고 교재 및 Code & Standard - Control Systems Engineering Exam Reference Manual : A Practical Study Guide  : PE 준비하는데 가장 기본이 되는 교재입니다. 예제 및 연습문제의 난이도는 시험보다 쉬운 수준입니다. - Control Systems Engineer Technical Reference Handbook  : 예제가 없고 이론위주의 교재이나 Reference Manual에서 부족했던 부분을 보충하기에 괜찮은 교재입니다. - Control Systems Engineering (CSE) Study Guide  : Practical Study Guide와 비슷한 수준의 연습문제 수록 - PE Control Systems : Sample Questions & Solutions   : 복잡한 계산문제는 시험에 나오지 않으므로 적당히 스킵하시기 바랍니다. 이 교재의 문제가 PE 시험과 체감 난이도가 비슷했습니다.  (문제 유형은 다름) - Safety Instrumented Systems Verification : Practical Probabilistic Calculations : 현재는 'Safety Instrumented System Design: Techniques and Design Verification' 이라는 명으로 판매되는 교재이며, SIS(SIL,PFD,etc) 관련 개념을 잡기에는 가장 괜찮은 교재입니다.  - Crosby PRV Engineering Handbook / Fike Rupture Disc Sizing - Control Valve Handbook by Fisher  : Valve Sizing 부분만 참고

RTD vs Thermocouple

펌프, 컴프레서 등과 접한 프로세스의 경우 강한 프로세스의 진동으로 인해 RTD센서 내부가 파손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일반 RTD센서는 진동 내구성이 최대 3g로 진동에 약하므로 진동이 높은 프로세스에서는 온도 범위는 600℃이하의 RTD를 사용하는 조건이지만, 진동 내구성이 RTD보다 좋은 Thermocouple 센서 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일반적으로 Thermocouple은 RTD의 온도 범위 밖의 고온 공정에 사용되며 RTD 사용 온도 조건에서는 RTD보다 정확도가 현저하게 떨어집니다. (Thermocouple K type 기준 ±2.5℃, RTD Class A 기준 ±0.15℃ )   이처럼 내구성을 고려해 정확도를 타협할 경우, 당연하게도 공정 효율성에 영향을 미칩니다.  엔드레스하우저만의 진동에 강한 RTD센서 ‘StrongSens’는 최대 60g의 진동 내구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일반 RTD센서(3g)보다 약 20배 가량 내구성이 강한 것입니다. 이처럼 'StrongSens'는 RTD의 정확도와 Thermocouple의 내구성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제품으로, 공정의 효율성을 높이고 센서의 사용 주기를 늘릴 수 있습니다. 출저: 엔드레스하우저 <추천링크> https://instrumentationtools.com/thermocouple-questions-answers/

K5 1세대 할로겐 램프 수입반사판 시공 후기

이미지
교체전구 : 필립스 익스트림비전 지포스 (+130% 밝기, 400~450 사용시간) 반사판 시공비용 : 35만원 1. 반사판 상태  2. 시공 전 하향등 3. 시공 후 하향등

자동차 와이퍼 들뜸현상 해결방법

와이퍼 들뜸현상 해결방법 https://cafe.naver.com/ybkwiper  - 앞유리 발수코팅 금지  - 워셔액은 친수성(에탄올) & 발수코팅기능 없는것으로 사용

Reflex Level Gauge 원리

이미지
  http://www.altonashop.com/Products/reflex_glass_level_gauges.htm